티스토리 뷰
연말정산 장기 주택 저당 차입금 소득공제의 핵심 정보
루트킷 2024. 1. 7. 13:18연말정산 장기 주택 저당 차입금 은 주택 구입을 위해 장기로 대출을 받은 경우 해당 대출 이자상환액 을 소득공제로 신청하는 제도입니다. 이 글에서는 주택 관련 소득공제 항목과 주택 소유자와 대출 차주의 조건, 그리고 소득공제의 가능 여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주택 관련 소득공제 항목
연말정산 에서 주택 관련 소득공제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주택마련저축 (청약저축)
- 주택입차차입금 원리금 상환액 (전세자금대출)
- 장기주택저당차입금 이자상환액 (주택담보대출)
- 월세
장기주택저당차입금 소득공제 대상자 조건
장기주택저당차입금 이자상환액 공제를 받으려면 다음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 주택을 소유하지 않거나 1주택을 보유한 세대의 세대주인 근로소득자여야 합니다.
- 주택의 기준시가가 5억 원 이하인 주택이어야 합니다.
주의해야 할 점은 세대주와 대출 차주가 동일해야하며, 주택을 소유한 후 3개월 이내에 대출을 받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대출금리가 더 저렴한 조건으로 대출을 갈아타더라도 소득공제 가능합니다.
무주택자 소득공제와 관련된 내용
무주택자라도 해당 연도에 주택을 매도하고 대출을 받은 경우에도 소득공제가 가능합니다. 또한, 근로자 명의의 주택과 대출 차주도 근로자여야 소득공제 가능합니다.
주택담보대출 연말정산 증빙서류
연말정산 시 필요한 증빙서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 장기주택저당차입금 이자상환증명서
- 주민등록표등본
- 개별(공동) 주택가격 확인서
- 건물등기부등본 또는 분양계약서 사본
- 대환, 차환, 연장 시에는 대출계약서 사본 추가 제출이 필요합니다.
이와 관련된 더 자세한 내용은 미네르바올빼미님의 참고 영상 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연말정산 장기 주택 저당 차입금 소득공제 가능 여부
연말정산 에서 장기주택저당차입금 이자상환액 의 소득공제 가능 여부는 대출기간과 상환 시점에 따라 달라집니다. 아래 표를 참고하여 소득공제 가능 여부를 확인하세요.
대출기간 |
상환 시점 |
소득공제 가능 여부 |
15년 이상 |
아무 시점이나 상환 |
가능 (연간 최대 1,800만 원 한도) |
10년~15년 |
아무 시점이나 상환 |
가능 (연간 최대 1,500만 원 한도) |
10년 이하 |
10년 이전 |
불가 |
10년 이하 |
10년 이후 |
최대 600만 원까지 가능 |
15년 이상 |
10년 이전 |
불가 |
15년 이상 |
10년 이후 |
최대 600만 원까지 가능 |
이상으로 연말정산 에서 장기주택저당차입금 이자상환액 소득공제에 대한 정보를 제공드렸습니다.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연말정산 을 효율적으로 진행하세요. 필요한 증빙서류는 미리 준비하여 불필요한 어려움을 피하도록 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