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주택 취등록세 계산기 이용안내

루트킷 2022. 8. 18. 03:20

주택 취등록세 계산기 사용안내

이번에 포스팅해볼 주제는 부동산을 구입을 하실때에 신경을 쓰셔야하고있는 부분인 취득세와 등록세에 대해 소개를 해 드리도록 할거에요. 부동산의 가격이 엄청 큰 금액이기도 해서 이에 따른 세금들 물론 엄청 비중이 큽니다.

주택 취등록세 계산

그렇기에 주택을 구입을 고려하시다면 같이서 고려를 해보셔야하는 부분들이 바로 취등록세와 부동산중개수수료겠죠. 이번엔 주택 취등록세 계산기를 사용을 하는 방법에 대해 안내해보도로록 하겠습니다.

주택 취등록세 계산

아무래도 세금계산은 정말 복잡하고 머리가 아프기도 합니다. 그렇기에 이번엔 오토로 계산을 해주시는 계산기를 사용을 해서 확인을 해보시는 방법 소개를 해볼거에요.

아래 준비한 바로가기를 누르시고 나서 상단에 보이는 홈페이지로 이동후 '취득세'를 눌러주시기 바랍니다. 옆에는 중개보수도 있기 때문에 같이서 계산해 보아도 좋게네요.

 

 

부동산114

 

 

주택 취등록세 계산

그러면 이렇게 바로 계산기가 실행되게 되시런데요. 이곳에서 아파트 선택은 꼭 해주지 않아도 되요. 거래가격만 입력하게 된다면 되겠습니다. 또한 보유주택수도 입력하시고 전용면적도 입력해주시기 바랍니다.

주택 취등록세 계산

저는 그럼 임의로 약 3억5천만원의 85m2 이하인 84m2로 계산을 해두도록 하겠습니다. 전용면적에 따라 세율이 확연하게 다르게 되어 지죠. 그렇기에 현재 아파트들은 84m2 형태로 나오도록 되어지죠.

주택 취등록세 계산

이 방법으로 계산을 해 보니 약 3억5천만원의 84m2 라고 하면 세금이 약 385만원 정도 나오도록 되네요. 요기서 85m2이상이었다면 농어촌 특별세가 청구가 되기도 하답니다.

주택 취등록세 계산

세율을 바로 살펴보도록 할께요? 상단에 보이는 표를 기반으로 하며 안내 해본 주택 취등록세 계산기가 동작을 해보시게되는것이에요. 오늘 내용을 설명 해 보았던 내용 방문자분들도 도움이 되었길 바래 보면서 그럼 준비한 내용은 이만 마치도록 할게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