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농업은 우리 사회의 중요한 기반 중 하나로, 그 안에서 일하는 농업인들은 우리 모두의 생존과 안전을 지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농업인들을 지원하기 위해, '농업인 직불금'이라는 공익직불제도가 마련되어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농업인 직불금'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농업교육포털에서 의무교육을 진행하세요.

 

공익직불제란?

농업인 직불금은 환경 보전, 농촌 유지, 식품 안전 등의 목적으로 농업인을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이 제도를 통해 중소규모 농가의 소득을 안정화하고 농가 간의 형평성을 높이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공익직불제 종류

농업인 직불금은 기본형 공익직불제와 선택형 공익직불제로 나뉩니다. 기본형 공익직불제는 다시 소농직불금과 면적직불금으로 나누어집니다.

 

소농직불금

  • 소농직불금은 면적과 상관없이 일정 요건을 충족하는 농가에게 120만 원을 지급합니다.

 

면적직불금

  • 면적직불금은 면적 구간에 따라 다르게 지급되며, 농업진흥지역 안과 밖에 따라 단가가 조정됩니다.

 

직접직불금 대상농지

  • 특정 기간 동안 사용된 논, 밭, 조건불리지역의 농지가 직접직불금 대상이며, 농가는 일정한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소규모 농가 직불금

  • 소규모 농가 직불금은 농업인이 아닌 농가에게 면적과 관계없이 120만 원을 지급하며, 가족 관계에 따라 정해집니다.

 

면적직접직불금

  • 면적직접직불금은 소농직불금 조건을 충족하지 않고, 일정 기준을 충족하는 농가에게 지급됩니다. 이 금액은 면적 구간과 농업진흥지역 여부에 따라 단가가 정해지며, 총 면적에 기준면적 구간별로 지급단가를 적용하여 계산됩니다.

 

신청 및 정보 확인

농업인은 공익직불제를 받을 자격이 있으면 신청하여 지급액을 계산할 수 있으며, 농림사업 정보 시스템에서 지원금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23년 의무교육

2023년에는 기본형 공익직불금을 신청하는 농업인은 '농업인 직불금 의무교육'을 이수해야 합니다. 이 과정은 농업인에게 17가지 준수사항 중 하나로 요구됩니다.

 

의무교육 중요 사항

  • 의무교육은 9월 30일까지 이수하지 않으면 직불금 총액의 10% 감액 불이익이 있습니다.
  • 의무교육은 온라인으로 이수 가능하며, 농업교육포털을 통해 접속하여 로그인하고 교육영상을 시청하면 됩니다.
  • 교육과정은 집합교육, 온라인교육, 모바일교육, 자동전화교육 등 4가지 과정으로 제공되며, 수료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대면방식 집합교육도 가능하며, 수료증은 인쇄하여 보관하면 됩니다.

 

마무리

농업인 직불금은 농업인들을 지원하여 우리 민족의 농업을 보호하고 발전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더불어 의무교육을 통해 안전하고 지속 가능한 농업을 유지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농업인들의 힘든 노고에 보답하기 위한 이러한 정책은 더욱 확대되기를 기대합니다.

농업교육포털에서 의무교육을 진행하세요.

 

다운로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