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4대보험과 고용보험 보험료와 혜택 알아보기
루트킷 2023. 10. 10. 19:50한국의 근로자들은 4대보험에 가입하여 사회보장을 받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4대보험 고용보험"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오늘은 4대보험 고용보험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4대보험이란?
4대보험은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각각의 보험은 근로자와 사업주가 함께 부담하며, 근로자의 사회보장을 지원합니다. 이 중에서 고용보험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고용보험 요율
고용보험의 보험료율은 다양한 요소에 따라 달라집니다. 고용안정 및 직업능력 개발사업에 따라 사업주가 부담하는 비율이 상이하며, 실업급여 요율은 1.8%입니다. 아래는 고용보험의 요율을 보여주는 표입니다.
근로자 |
사업주 |
실업급여 |
0.9% |
고용안정 |
직업능력 |
직업개발사업 |
150인 미만 기업 |
150인 이상(우선지원대상기업) |
|
150인 이상 1,000미만 기업 |
|
1,000인 이상 기업, 국가 지방자치단체 |
2023년 월급 실수령액
월급 실수령액은 근로자가 4대보험과 소득세를 제외한 실제 수령액을 나타냅니다. 이 금액은 부양 가족수 및 세액공제 등에 따라 다르며, 2023년을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4대보험 계산기
4대보험 및 월급 실수령액을 계산하려면 이 링크 를 참고하세요. 계산 결과는 모의 계산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습니다.
보배 진이 고용보험 및 산재보험료 조회 방법
- 근로복지공단 고용산재 토탈서비스 웹사이트에 접속하세요.
- 사업자로 로그인합니다.
- "부과 고지 보험료 조회" 서비스를 선택합니다.
- 고용 보수관리 비밀번호가 있으면 좌측, 없으면 우측을 선택합니다.
- 고용보험 및 산재보험료는 매월 19일 오전 9시 이후 조회 가능합니다.
- 관리번호, 부과 연도, 부과월을 입력한 후 조회합니다.
- 스크롤을 내리면 보험료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사업장산정내역(보험년도 합계)" 항목에서 [산재] 및 [고용] 탭을 선택하여 각각 조회합니다.
- [산재] 탭에서 "당월 보험료 부과내역조회(간편조회)"를 선택하면 산재보험료 리스트가 표시됩니다.
- 성명을 입력하여 개별 조회도 가능하며, 엑셀 파일 또는 인쇄물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 [고용보험] 조회 방법은 동일하며, 근로자와 사업주 부담분을 구분해 확인합니다.
- 65세가 넘은 근로자는 실업급여 대상이 아니므로 파란색 부분은 "0"으로 처리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근로복지공단 고용 을 참고하세요.
결론
4대보험 고용보험은 근로자와 사업주가 함께 부담하여 근로자의 안정적인 고용과 생활을 지원합니다.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보배 진이 고용보험 및 산재보험료 조회 서비스를 활용해보세요.